티스토리 뷰

경제

삼성증권 수수료 총정리

(*^_^*)/ 2020. 9. 15. 00:01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삼성증권 수수료 구조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TV를 보다보면 손담비가 삼성증권에 관해서 광고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 주식투자 열풍이 불면서 삼성증권이 수수료 무료 등을 혜택으로 공격적으로 고객들을 모집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삼성증권 주식거래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증권사 수수료 종류

    삼성증권 수수료

    우선 증권사에서 고객들에게 부과하는 수수료의 종류에 관해 알고 가셔야 합니다.

    사실 증권사에서는 고객들에게 주식을 매수/매도 시 부과하는 주식거래 수수료 이외에는 따로 수수료를 받고 있지 않습니다.

    주식을 구매하기 위한 예탁금에 대해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 줄 아시는 분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주식 수수료 이외에 증권거래세를 지급해야 하는데요. 이는 매도 시에만 적용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증권사 수수료 보다 더 많은 세율을 부과하기 때문에 이는 놓치지 말아야 할 포인트입니다. 

    삼성증권 수수료 총정리

    삼성증권 수수료

    그럼 삼성증권에서 부과하는 주식거래 수수료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증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지만 여러분의 시간 절약을 위해 여기에 기술합니다. 

    삼성증권 수수료

    먼저 어떤 매체를 이용해서 증권거래를 하느냐에 따라서 수수료율이 바뀌며, 얼마를 거래하느냐에 따라 수수료율이 달라집니다. 

    어떤 매체를 이용하느냐는 HTS/MTS/홈페이지를 이요하느냐, ARS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삼성증권에서는 POP이라는 HT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말씀 드린 것처럼 거래 금액에 따라서 수수료율이 나뉩니다. 

    예를 들어서 1천만원 상당의 주식을 거래했을 때, 0.127216% + 3,000원의 수수료율이 부과되는데요.

    금액으로 환산하면 총 15,721원의 수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이는 키움증권, 미래에셋, 유안타증권 등 개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증권사에 비해서 수수료율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삼성이라는 브랜드가 가져오는 신뢰감이 삼성증권을 이용하는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ARS는 POP HTS나 MTS를 이용할 때에 비해서 약 2배에 가까운 수수료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삼성증권 수수료 구조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