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주택기간 확인방법 및 무주택으로 인한 청약 가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임대차3법으로 시작된 부동산 정책에 의해서 서울 부동산값이 치솟고 있습니다.
10억을 넘는 아파트들이 우후죽순 생기면서 서민들이 저축을 통해서 부동산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청약에 희망을 걸고 있습니다. 수도권 내 분양이 시작되면 경쟁률이 수백대일이 되는 것은 일상다반사입니다.
85제곱미터 이하 민간분양에 당첨되려면 청약 점수가 무조건 높아야 유리한데요.
청약 점수를 올릴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무주택기간을 늘리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아래에서 무주택기간 확인방법 알아보겠습니다.
무주택기간 정의
먼저 무주택기간이 무엇인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무주택자란 말그대로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사람입니다.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기간을 산정하는 기준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30세 이후 무주택 기간입니다. 청약 가점을 계산할때 무주택기간은 30세 이후부터 계산됩니다.
따라서 만약에 자신이 36살이라고 하면 무주택기간은 6년이 되는 것입니다.
또 한가지는 30세 이전에 결혼한 경우입니다.
만약에 28살에 결혼을 하고 현재 36살에 무주택이라면 무주택기간은 8년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무주택은 세대구성을 모두 합산해서 확인하기 때문에 자신이 무주택이어도, 세대주 또는 세대원이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면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무주택인 상태로 세대주가 되어야 무주택기간이 더해집니다.
하지만 직계존속인 부모님이 주택을 한 채 보유하고 있었지만, 만 60세를 넘긴 경우에는 세대원이어도 무주택자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무주택기간 청약 가점
무주택기간은 청약 계산에 있어서 꽤 많은 가점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주택기간이 길어질수록 청약 당첨확률도 높아지는 것이죠.
아래는 무주택기간에 따른 청약 가점 분포입니다.
무주택기간 | 점수 | 무주택기간 | 점수 |
1년 미만 | 2 | 9년 미만 | 18 |
2년 미만 | 4 | 10년 미만 | 20 |
3년 미만 | 6 | 11년 미만 | 22 |
4년 미만 | 8 | 12년 미만 | 24 |
5년 미만 | 10 | 13년 미만 | 26 |
6년 미만 | 12 | 14년 미만 | 28 |
7년 미만 | 14 | 15년 미만 | 30 |
8년 미만 |
16 | 15년 이상 | 32 |
무주택기간이 15년 이상이면 만점인 32점이 됩니다.
이상 무주택기간 확인방법 및 무주택으로 인한 청약 가점 확인해보았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추천 사이트 3곳 총정리 (0) | 2020.11.15 |
---|---|
재개발 재건축의 차이 총정리 (0) | 2020.11.14 |
카카오 뱅크 계좌 개설 방법 총정리 (0) | 2020.11.10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세율 절세 신고 총정리 (1) | 2020.11.09 |
비트코인 거래방법 및 거래소 계좌개설 총정리 (0) | 2020.11.08 |